-
[Git] 2. 깃(Git) 용어와 명령어프로그래밍 기초/깃 2021. 7. 21. 23:26
깃 용어
Working Directory: 현재 작업 중인 Git 프로젝트 파일들이 있는 내 PC의 디렉토리로 Unstaged 상태인 Modified file(수정된 파일)들이 있다.
Staging Area: 커밋할 변경 내역들의 대기 장소 즉, 커밋을 준비(to be committed)하는 위치
저장소(Repository): 프로젝트 디렉토리나 저장 공간
Local Repository: 커밋들이 스냅샷으로 기록된 곳
Remote Repository: 로컬 PC를 넘어 원격 서버에서 관리되는 저장소
브랜치(Branch): 개발의 한 갈래
커밋(Commit): 업데이트를 확정. 스냅샷 처럼 확정된 순간의 코드 상태를 커밋 메세지와 함께 저장소(Repository, Git Directory)에 기록(저장)
코멘트 라인(Command Line): 깃 명령어를 입력할 때 사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깃 명령어
git init : 깃 저장소를 초기화
git status : 저장소 상태를 체크
git add : Working Directory의 변경내역을 Staging Area에 올린다.
git commit : Staging Area에 있는 변경내역들을 실제 스냅샷으로 묶어 Local Repository에 올린다.
git branch : 새로운 브랜치를 만들고, 자신만의 변경사항과 파일 추가 등의 커밋 타임라인을 만든다.
git push : local repository의 내용을 remote repository로 업로드
git pull : local repository의 내용을 remote repository에서 가져온다.사용 순서
- 저장소 복제: git clone 또는 저장소 선언: git init
- Commit할 파일 선택: git add
- 선택할 파일을 실제로 기록(Commit)한다: git commit
- 원격 저장소(인터넷)에 업로드: git push
- 새로 올라온 Commit들 다운로드: git pull
References
https://coding-groot.tistory.com/111
Git을 사용하기 위해 알아야 할 용어 및 개념들 :: Repository, Commit, Local, Remote, GitHub
Git 튜토리얼 0 Git의 용어와 개념들 그리고 그 개념의 사용 순서 Git 튜토리얼을 시작하기 전에 Git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와 개념들에 대해서 알아보며 감을 잡아봅시다. 용어 및 개념 정리 저장
coding-groot.tistory.com
소스코드 버전 관리: 깃(Git) #4 CLI
Git Bash 이용하기
velog.io
'프로그래밍 기초 > 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깃(Git)과 깃허브(Github) (2) 2021.06.30